티스토리 뷰
하품
한국 작가들의 중편을 부담없는 가격가 가벼운 제본으로 담고 있는 소설향 시리즈가 있다. 몇년 전 이 출판사는 한국 현대 소설사에서 독특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중편 소설의 가치를 되살려 오늘날의 독자들에게 단편의 미학과 장편의 스토리텔링을 다시 선보이고자 (출처 소개글) 5권을특별판으로 개정 출판했는데, 그 중 하나다. 얼마 전 읽은 백민석의 <죽은 올빼미 농장>과 표지가 비슷해서 찾아보았더니, 이 시리즈의 소설이었다. 여러 개의 문학상을 동시에 수상하며 최초 그랜드슬램 을 달성했다는 평가만으로도 일단 한 번 읽어볼 만한 가치가 있겠다.특별판 말고도 이 소설향 시리즈가 좋은 게 일단 중편 분량이라 단편보다는 깊이있는 작가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는데다가, 분량이 짧으니 그닥 궁합이 안맞는 작가라 하더라도 끝까지 읽을 수 있다. 유튜브 영상과 SNS 등을 주요 매체로 접하게 되어 손글씨 쓰기는 물론 글자만 길게 읽는 일이 점점 힘들게 되어 가는 세대에 중편 소설은 좋은 선택이다. 짧고 가벼운 면에서야 단편이 더 나을테지만, 이상하게도 단편이 제공하는 텍스트에서 집중할만한 서사를 발견하기 힘든 경우가 종종 있어서.. 아무튼 이 시리즈 중의 하나인 죽은 올빼미 농장으로 만난 백민석에게 관심을 가지게 되어서 <장원의 심부름꾼 소년>도 찾아 읽게 되었다는게 중요한 사실이다.정영문의 하품을 읽으면서 이 작품이 그랜드슬램을 달성한 이유중 하나가 한국 소설 중에서도 형식적으로 파격적이어서가 아닐까 싶었다. 읽었지만 작품이 어떤 이야기, 어떤 서사를 담고 있는지를 옮기기는 어려울 거 같다. 왜냐하면 그런 게 없으니까. 이 작품은 예전에 조직 폭력배나 사기꾼이었을 것으로 짐작되는 두 남자가 우연히 길에서 만나 주고받는 만담같은 대화로 시작해서 그 대화로 끝난다. 배경이나 심리 묘사가 없고, 다른 등장 인물들도 전무하여 오직 대화로만 이루어진 이 소설은 마치 소극장의 연극을 보고 있는 듯하고, 아멜리 노통브의 소설들을 연상시킨다.오로지 두 사람의 대화 속에 모든 것이 있다. 그런데 그 사람들의 대화가 과거의 어떤 서사를 말하는 게 아니라 그저 서로를 깎아내리기에 바쁘다. 어찌 보면 그냥 아주 친한, 너무 친해서 아무 격의도 없고 그저 서로를 깎아내림으로서 자족하는 두 사람의 농담 같은 대화를 보는 듯하지만, 화가가 있고 화자의 생각속에서 그들이 하는 말은 농담이 아니다. 그 대화도 자네 그런가 하는 노인들의 대화체로 이루어져 있어서, 무슨 번역서를 읽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게다가 대화에 어떤 맥락이 있는 것도 아니다. 직역위주의 번역서에서 종종 볼 수 있는 서로 맥락 없는 대화가 끊임없이 이어진다.하품은 지루하고 권태로울 때 나온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 그들의 대화는 일상의 권태를 그대로 반영한다. 한 때, 아무런 죄도 없는 사람을 죽이는 것을 직업으로 혹은 낙으로 여기며 살았던 자신들의 과거를 희화화하는 순간마저도 두 사람이 만난 이 시간의 비루함을 이기는 방법은 서로를 향한 모욕과 무시 밖에 없다는 듯 두 사람의 대화는 자신의 미러와 같이 똑같이 닮은 상대방을 향해있다.내가 조금은 이해할 수 있었던, 그것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하기 어려웠던, 아무것도 이해할 수 없었다는 것이, 다시 말해, 아무것도 이해할 수 없다는 명백한 사실을 조금은 이해할 수 있었다는 것이 옳을, 이 삶, 그것이 처음부터 없었던 것이나 마찬가지인지도 모르겠어. 그 시작에서부터 무산된 이 삶은 살지 않은 것과 마찬가지인지도 모르지. 내게 있어 삶이 의미있었던 것은 그것이 무의미하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한에였을 뿐이야. 그가 말했다.
문학상 최초 그랜드슬램, 한무숙문학상 ? 동인문학상 ? 대산문학상 수상작가 정영문의 중편소설 뭘 하고 있나. 내 인생을, 응시하고 있는 걸세. 못 하는 말이 없군. 무의미한 말과 말을 주고받는 대화의 향연, 고독의 고백한국 현대소설사에서 독특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중편소설의 의미와 가치를 되살려 오늘날의 독자들에게 단편의 미학과 장편의 스토리텔링을 다시 선보이고자 소설향 시리즈 중에서 5편을 골라 특별판으로 출간하였다. [소설향 특별판]으로 출간된 하품 은 한무숙문학상, 동인문학상, 대산문학상을 잇따라 수상하며, 문학상 최초 그랜드슬램 달성으로 큰 화제를 모은 정영문의 중편소설이다. 이 작품은 삶 그 자체에 대한 절망과 회의에서 솟아나는 권태를 삶의 일상성을 모욕하는 듯한 끊임없는 대화를 통해 마치 농담을 하듯 유희적으로 그려 보여준다. ‘나’와 ‘그’는 함께 있는 시간이 아깝다고 생각할 만큼 서로 하찮게 여기지만, 각자 삶과 세계에 지루함과 비루함을 느끼면서 일련의 동질감을 느낀다. 그들은 무료하고 심심한 일상에서 벗어나려고 억지로 쓸데없는 행동들을 일삼곤 한다. 그들의 일탈은 그저 반쯤 썩은 사과를 깎아서 먹는다든지, 코끼리한테 주려던 눅눅해진 강냉이를 먹는다든지, 코털이나 머리털을 뽑는다든지 하는 일들에 불과하다. 작가는 무의식과 비정형을 끝없는 중얼거림이라는 새로운 화법으로 얘기하며 독자를 이전의 한국 소설과는 완전히 다른 곳으로 데려간다. 또한 언어가 현실과 얼마나 무관해질 수 있는지에 대해 극단적으로 분절된 대화의 연쇄를 통해 표현하면서도 마지막 장을 덮고 나면 결국 우리가 발 디딘 공간이 소설 속 농담과 하품의 세계에서 조금도 벗어나 있지 않음을 역설적으로 드러낸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홍차로드
- 창의 가베놀이 바이블
- 월세의 신
- 열두째 나라
- 비도귀환 6-1
- 오페라의 유령 영화음악 (The Phantom Of The Opera: The Movie OST)
- 검객의 칼끝
- 일빵빵 스토리가 있는 영어회화 세트
- 보물지도 8
- 조선왕조실톡 1-3 세트
- 문학을 읽으십시오
- 가치투자를 말한다
- 30 Thirty
-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8
- 오투 중등과학 1-2 (2020년)
- 시각 디자이너 · 도시 계획가
- 금지된 재회
- 유리벽에 갇힌 아이들
- 김형용의 뉴토익 비긴즈 RC
- 자전소설 1
- 배트맨 : 블랙 미러 1
- 별똥별 아줌마가 들려주는 지구 이야기
- 한여름의 열기
- 동화 독법
- Best of 55
- 기적의 영단어+쓰기 노트 3권
- 헬로 카봇 스티커 보드게임북
- [고화질] 명탐정 코난 45
- 예배자에게 필요한 30가지 영적 기초
- 하버드 머스트 리드 에센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